혹시 집안 구석에 오래된 전선이나 안 쓰는 전기용품, 공사하고 남은 동파이프 같은 거 쌓아두고 계시진 않나요? 저도 얼마 전에 창고 정리를 하다가 예전에 인테리어 하고 남은 폐전선 뭉치를 발견했거든요. 이거 그냥 버리자니 부피도 크고, 고철이라는데 어떻게 처리해야 하나 막막하더라고요. 😅
그런데 알아보니 이 '구리 고철'이 일반 철 고철과는 비교도 안 될 만큼 비싼 몸값을 자랑한다는 거 있죠! 요즘 전기차다, 신재생에너지다 해서 구리 수요가 엄청나다고 해요. 그래서 오늘은 저처럼 구리 고철 처리에 막막했던 분들을 위해, 2025년 10월 현재 최신 구리 시세는 어떤지, 그리고 어떻게 준비해서 팔아야 조금이라도 더 받을 수 있는지 그 꿀팁을 꼼꼼하게 정리해 드릴게요! 😊
2025년 10월, 구리 고철 시세 현황 💰
먼저 가장 궁금해하실 가격 정보부터 알려드릴게요. 2025년 10월 현재 구리 고철 가격은 작년보다 약 7~10% 정도 오른 상태예요. 이게 다 전기차 배터리나 태양광 패널 같은 신재생에너지 분야에서 구리를 엄청나게 필요로 하기 때문이라고 하네요. 구리 시세는 품목이나 순도에 따라 가격 차이가 꽤 크니 아래 표를 참고해주세요.
여기에 나오는 시세는 2025년 10월 기준 '평균적인' 가격이에요. 실제 가격은 런던금속거래소(LME) 국제 시세나 환율에 따라 매일 바뀌고, 지역별, 고물상별로도 조금씩 다를 수 있으니 꼭 참고용으로만 보세요!
주요 구리 품목별 가격 (2025년 10월 기준)
품목 | 설명 (예시) | kg당 시세 |
---|---|---|
A동 (꽈배기동) | 고순도(99.98% 이상) 구리선 | 12,000 ~ 13,000원 |
상동 | 부스바, 배관 자재 등 | 12,000 ~ 12,500원 |
파동 | 에나멜 동선, 모터류 | 11,000 ~ 11,500원 |
동선 (피복 제거) | 일반 전선 속 구리 | 11,000 ~ 12,500원 |
혼합 구리 | 불순물 포함 | 8,000 ~ 10,000원 |
폐전선 (피복 포함) 가격
전선은 피복을 벗기지 않고 그대로 팔 수도 있어요. 물론 가격은 피복 무게만큼 빠지겠죠?
품목 | kg당 시세 |
---|---|
고압선 (A) | 약 10,000원 |
단선 (굵은 단일 전선) | 약 7,400원 |
통신선 (랜선 등) | 약 4,450원 |
잡선 (가전제품 코드 등) | 2,500 ~ 2,700원 |
구리 고철, 어떻게 팔아야 제값 받을까? 🤔
시세를 알았으니 이제 제대로 파는 방법을 알아봐야겠죠? 그냥 뭉텅이로 가져가면 절대 안 돼요! 조금만 손보면 훨씬 좋은 가격을 받을 수 있답니다.
1. 판매 전 준비사항: '분류'가 생명!
가장 중요한 건 '분류'예요. 고물상에서도 가장 좋아하는 게 바로 깔끔하게 분류된 고철이거든요.
- 피복 제거: 솔직히 이게 제일 귀찮은 작업인데요, 폐전선은 플라스틱 피복을 제거하고 구리선만 모아가면 단가가 확 올라가요. 99% 이상 깨끗한 A동(꽈배기동)이 가장 비싸답니다.
- 종류별 분류: 반짝이는 구리(상동), 에나멜 코팅된 구리(파동), 그리고 구리 합금인 신주(황동, 노란빛)는 꼭 구분하세요. 신주는 구리보다 가격이 낮기 때문에(kg당 7,300~7,700원) 섞어가면 무조건 손해예요!
- 불순물 제거: 구리 파이프에 붙은 플라스틱 조각이나 다른 금속 부품들은 최대한 제거하는 게 좋아요.
2. 판매처 선택하기
어디에 파느냐에 따라서도 가격이 달라져요.
- 가까운 고물상: 양이 많지 않다면 직접 방문하는 게 편하죠. 대신, 발품 팔 각오(?)는 하셔야 해요. 최소 2~3곳은 방문해서 견적을 비교해보세요. kg당 100~300원씩 차이 나기도 해요!
- 전문 비철금속 업체: 공사를 했거나 양이 정말 많다면(수백 kg 이상) 전문 매입업체에 연락하는 게 좋아요. 트럭으로 직접 수거하러 오기도 하고, 더 좋은 가격을 쳐주거든요.
- 온라인 플랫폼: 요즘엔 당근마켓 같은 곳에서도 개인 간에 거래하기도 하더라고요. 소량이라면 이것도 방법일 수 있겠네요.
폐전선, 구리가 얼마나 나올까? (수율 계산) 🧮
"내가 가진 전선에서 구리가 얼마나 나올까?" 궁금하시죠. 이걸 '수율'이라고 하는데요, 전선 굵기마다 다 달라요.
📝 전선 굵기별 예상 구리 함량 (예시)
- 100SQ: 구리 함량 약 80%
- 1C X 500SQ: 구리 함량 약 85~90%
- 4C X 500SQ: 구리 함량 약 70% (피복 30%)
*SQ(또는 스퀘어)는 전선 굵기(단면적, mm²)를 의미해요.
계산 예시: 구리 무게 계산하기
이론상이긴 하지만, 대략적인 구리 무게는 이렇게 계산해볼 수 있어요.
구리 무게(kg) = 0.00896 × 전선 굵기(A, mm²) × 길이(l, m)
→ 예를 들어 100SQ 굵기의 전선이 10m 있다면?
0.00896 × 100 × 10 = 약 8.96kg (이론상 순수 구리 무게)
판매 시 꼭 알아야 할 주의사항! ⚠️
자, 이제 마지막으로 고물상 가서 호갱(?) 당하지 않는 팁 몇 가지 알려드릴게요!
무게 잴 때 꼭! 현장에서 두 눈으로 지켜보세요. 가끔 무게를 속이는 곳도 있다고 하니, 계근대에 올라가는 숫자 꼭 확인하시고 계근표(무게 증명서)도 받아두시는 게 좋아요.
가격 협상 및 거래 팁
- 시세 확인: 방문 전에 꼭 그날의 LME 구리 시세를 확인하고 가세요. "오늘 시세 얼마인지 알고 왔습니다~" 하는 태도가 중요해요.
- 거래 요일: 보통 월~수요일 오전에 금속 매입 업체들이 활발하게 움직인다고 하니, 이때 방문하는 게 조금 더 유리할 수 있어요.
- 감가 요인: 불순물이 많거나, 피복 제거 같은 추가 작업이 필요하게 가져가면 당연히 가격이 깎여요. (감가된다고 하죠)
- 신분증 챙기기: 고물상에 처음 방문하거나 거래할 땐 신분증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으니 꼭 챙겨가세요.
세금 관련 참고
혹시 사업자시거나 아주 정기적으로 대량 판매하시는 거라면 세금 문제도 신경 쓰셔야 해요. 구리 고철(구리스크랩)은 부가세 관련해서 '구리거래계좌'라는 걸 이용해야 하거든요. 이걸 사용하지 않고 거래하면 매입자, 매출자 모두에게 가산세가 붙을 수 있어요.
물론, 저처럼 집에서 나온 소량의 고철을 비정기적으로 판매하는 개인은 보통 신고 의무가 없으니 크게 걱정 안 하셔도 됩니다!
앞으로 구리 시세는 어떻게 될까? (전망) 📈
전문가들은 2025년 하반기에도 구리 가격이 계속 강세를 보일 거라고 전망하고 있어요. 미국이나 유럽에서 인프라 투자를 늘리고 있고, 반도체 산업도 회복세인데다, 신재생에너지 수요는 계속 폭발적이니까요.
물론 환율이나 국제 정세에 따라 잠깐씩 주춤할 수는 있지만, 전반적으로는 우상향할 거라는 예상이 많아요. 특히 건설 경기가 좋은 시기에는 구리 수요가 늘어서 가격이 오를 가능성이 높으니, 국제 시세를 꾸준히 지켜보시는 게 판매 타이밍 잡는 데 도움이 될 거예요.
- 분류 필수: A동, 상동, 파동, 신주(황동) 등 종류별로 꼭 분류하세요.
- 피복 제거: 전선은 피복을 벗기면 단가가 훨씬 높아져요.
- 시세 확인: 방문 전 LME 국제 시세 확인은 필수!
- 가격 비교: 최소 2~3곳 고물상에 견적 비교하세요.
마무리: 구리 고철, 그냥 '고물'이 아니에요! 📝
정리해보니 구리 고철이 정말 그냥 '고물'이 아니라 '자산'이라는 생각이 드네요. 어떻게 분류하고, 언제, 어디에 파느냐에 따라 수익이 크게 달라질 수 있으니까요.
- 시세 확인: 국제 시세를 주기적으로 보세요.
- 정확한 분류: A동, 상동, 파동, 신주... 섞지 말고 꼭 나누세요.
- 피복 제거: 조금 귀찮아도 피복을 벗기면 돈이 됩니다.
- 가격 비교: 여러 업체에 꼭 견적을 물어보세요.
구리 고철은 전략적으로 접근하면 분명 쏠쏠한 부수입이 될 수 있어요. 오늘 알려드린 팁들 잘 활용하셔서 잠자고 있던 구리 고철, 제값 받고 판매하시길 바랄게요. 혹시 더 궁금한 점이나 본인만의 꿀팁이 있다면 댓글로 공유해주세요~ 😊
자주 묻는 질문 ❓
0 댓글